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3

진정한 회복을 위한, 중대한 예외 ! " 미국의 범죄 심리학자인 하워드 제어(Howard Zehr)에 따르면,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는 전통적인 형사 사법 체계와는 다른 접근법으로, 범죄나 갈등을 단순히 법을 위반한 행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관계의 손상으로 바라봅니다. 이 개념은 피해자, 가해자, 공동체가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피해를 복구하는 과정에 초점을 둡니다. 그러나 회복적 정의에도 예외가 되는 문제들이 있으니. . ." 회복적 정의에서 예외가 되는 형사법적 문제들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 RJ)는 다양한 범죄에 적용될 수 있지만, 모든 형사 사건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범죄 유형은 회복적 정의 적용이 어렵거나 제한될 수 있다.1. 중대한 폭력 범죄 및 강력 범죄.. 2025. 3. 10.
7. 함께 살아가는 세상, 공감에게 필요한 것은 ? 가족과 친구들과 대화 나눌때 저는 '공감'이 참 좋습니다. 뭔가 자꾸 판단하려하고 옳은 소리 하려는 친구를 만나면 '그래, 네가 도덕 선생해라, 몰라서 그런게 아닌데 마음 좀 알아주지. . .' 하면서 말이지요. 그러나 개인의 삶을 넘어 큰 세상을 바라 볼 때는, 공감의 짝꿍이 정의였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자의적으로 변형, 오용, 남용되어온 것이 아닌 보편적 가치와 원칙(이에 대해서는 또 다른 글에서 다루겠습니다)에 기반한 정의를 말합니다. 각자의 사연으로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이 그래도 안전하다 느끼며 평화롭게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나긴 시간, 숱한 희생과 시행착오를 겪으며 깨닫고 지키고 다져온 그 '약속'을 잘 지켜내는 것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1. 공감과 정의는 조.. 2025. 3. 10.
6. 공감은 언제나 좋은 것일까? 좀 아시는 분들 사이에서 공감은, 높은 관심만큼이나 열띤 논쟁도 많은 개념 중의 하나입니다. 개념 정의로 부터, 기능, 역할, 발달, 유사한 개념, 한계 등 등. 어쩌면 세살짜리도 쉬이 알 수 있을 것 같고, 좀 자세히 살펴보면 그리 간단치 않은 것도 같고, 의미도 많고 속성도 다양하고, 다른 개념들과의 견제, 균형, 조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면, 세상사가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길을 잃지 않으려면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1. 공감은 언제나 좋은 것일까? 공감(Empathy)은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돕는 원동력이 됩니다. 하지만 공감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잘못된 방식으로 사.. 2025. 3. 10.
머나먼길 그러나 걸어온 길, 언젠가 가게 될 길 ! : Hurry up ! " 어제 오늘의 시간을 지나는 중에 이런 글과 말이 눈과 귀에 들어옵니다. '지금까지 살면서 내가 믿고 지켜왔던 그것과 너무 달라! 혼란스러워'. '두렵기까지 해', '이건 아니잖아'. 가정 안팎에서 배워온 최소한의 교양과 상식만으로도 답을 찾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은 평이한 문제가, 세상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처럼 되어버리는 것은 과연 그 이유가 뭘까. . . ? 돌아보니 더 나은 세상으로 향해 가는 것이 거의 항상 참으로 쉽지 않은 과정들의 연속이었다는 사실. . . 이 또한 예상할 수 있는 문제였고, 또 지나갈 과정이로구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지금 과연 어디 즈음 와 있는지 다음의 열가지 주제로 질문을 던져봅니다.사회 및 국가에 대한 신뢰도: 핵심 주제 열가지1. 신뢰의 정의와 중요성신뢰(trust.. 2025. 3. 9.
5. 디지털 시대의 공감 - 온라인에서 공감은 가능한가? " 처음에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좀 어색하곤 했는데, 지금은 제법 자주 사용합니다. 말로는 좀 어색한데 감정을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싶을 때, 여건 상 바로 답할 수 없으나 확인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을 때, 길게 답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공감을 전달하고 싶을 때 등등. 물론 텍스트의 글을 기대하고 있을 때, 쏟아지는 이모티콘은 때로는 공해처럼 느껴질 때도 있습니다만.  대학시절 활동하는 한 그룹에서 다양한 감정을 나타내는 얼굴 표정을 그려 티셔츠로 만든 일이 있었습니다. 한 15개 정도의 서로 다른 표정 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리고 '당신 느낌이 뭔데? 하면 티셔츠에서 찾아 가리키며 말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오늘날의 이모티콘 소통의 전신이 아니었나 싶네요. 보통의 .. 2025. 3. 9.
4. 공감과 인간관계 - 공감이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는가? "반려 동물들과 제법 오랜 시간 함께 지내다 보면, 얘가 혹시 내 감정을 아나. . ? 싶게 때로는 위로가 될 때도, 또 미안해 질 때도 있습니다.  화가 나서 씩씩거리면, 눈치 살피며 발걸음도 살금 살금. . . 속상해서 울먹일듯 하면 다가와 토닥 토닥하는 눈빛으로 기대어 눕습니다. 물론, 공감이라기 보다는 동물적 감각일 수도 있겠지만. . .또 누가 아나요, 이 아이들도 사람과 함께하는 긴 역사를 통해 인간화되고 있는것인지도. . .반면, 동일한 역사를 함께해 왔으나, 오히려 야만화되는 듯한 이들이 있는 것을 보면(물론 극히 일부),' 얘가 사람 보다 낫다'라는 마음 이면에는 깊은 씁쓸함이 함께 자리합니다. . . ."    1. 공감은 인간관계의 기본 요소공감(Empathy)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 2025. 3. 8.
3. 공감의 유형 - 정서적 공감 vs. 인지적 공감 공감을 특별히 중요하게 다루는 분야에서는 좀 더 세밀하고 정교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글은 그보다는 가볍지만 일상적인 수준 보다는 조금 더 중량감있게 공감에 관해 설명합니다. 보다 학술적인 부분들은 추후 다른글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공감의 두 가지 유형공감(Empathy)은 단순한 감정 이입을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심리학적으로 공감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정서적 공감(Affective Empathy):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고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공감.인지적 공감(Cognitive Empathy): 타인의 감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대응하는 공감.이 두 가지 공감 유형은 서로 보완적이며, 상황에 따라 다르게.. 2025. 3. 8.
2. 공감의 심리학적 기초 - 인간 본성에 내재된 공감 누군가 자신에게 해로운 행동을 했을 때 어떤 마음이 일어나나요?  화가 나고, 혼내주고 싶은 마음? 또는 무슨 사정이 있어서 그렇겠지, 이해하자 혹은 무시하자. . .어떤 쪽이 공감에 더 가까울까요. . ? 공감은 말하거나 행동하는 이에 대한 긍정적 감정뿐 아니라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는 것도 포함합니다. 이해하고 무시하는 것 보다, 부정적 감정을 진솔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전달해 주는 것이 '진짜 공감'이라 합니다. 이 즈음 되면 공감이 제법 간단치가 않지요. . .?                 1. 공감의 본질: 인간은 왜 공감하는가?공감(Empathy)은 인간의 본성에 깊이 내재된 사회적 능력으로, 타인의 감정과 경험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과정입니다. 심리학적으로 볼 때, 공감은 단순한 정서적 반응이 .. 2025. 3. 8.
1. 공감이란 무엇인가? - 정의와 개념적 이해 정확한 워딩인지는 확실하지않으나, 음식은 우리의 몸을 성장시키고, 공감은 정신과 영혼을 성장시킨다는 말이 있습니다. 공감을 잘 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그리 간단치가 않다고도 하지요. 맞장구를 치거나, 당신말이 맞다고 하거나, 고개를 끄덕여 주는 것이 공감의 핵심은 아닙니다. 저 자신도 되돌아 볼겸, 공감에 관한 몇편의 글을 나누어 올려보고자 합니다.           1. 공감의 정의공감(Empathy)이란 타인의 감정이나 경험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동정(Sympathy)과는 다르며, 상대방의 감정을 진정으로 느끼고 함께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심리학자 대니얼 골먼(Daniel Goleman)은 공감을 감성지능(EQ)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보았으며, 하버드 대학 심리학자인 폴.. 2025. 3. 8.
놀란 마음 가라앉히는 법: 하루 하루가 롤러코스터. . .? " 살다보면 삶이 곧 수련의 연속이다 싶을 때가 많이 있습니다. 도를 닦고 깨달음을 얻기 위해 굳이 속세를 떠날 필요가 있을까. . .지금 살아 숨쉬는 이곳, 여기가 곧 수련의 터전이 아닌가 하는 것이지요. . .오늘도 사노라 노고가 많으신 중에, 혹시 놀라신 분들 계시다면 마음을 토닥 토닥 하시는 데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좋겠습니다."   갑자기 놀랐을 때, 빠르게 놀란 마음을 가라앉히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1. 즉각적인 신체 반응 조절놀라면 우리 몸은 교감신경계(sympathetic nervous system) 가 활성화되어 심박수 증가, 호흡 가빠짐, 근육 긴장 등의 반응을 보입니다. 이를 빠르게 진정시키기 위해 다음 방법을 사용하세요.① 깊은 복식호흡 (Diaphrag.. 2025. 3. 7.
주식시장: 잘 사는 유럽은 어떨까? " 북유럽 국가의 사정이 어떨까요? 역시 한계점이 없지 않겠으나 그들의 시행착오를 통해, 앞서하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참조할 점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북유럽 국가들의 주식시장 특징  독일, 프랑스 및 북유럽 선진국들은 강력한 경제력과 높은 수준의 금융 안정성을 바탕으로 유럽 및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주식시장 규모나 투자 환경 측면에서 미국, 영국, 일본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경향이 있다. 다음은 독일, 프랑스 및 북유럽 국가(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란드) 주식시장의 특징과 현황이다.1. 독일 (Frankfurt Stock Exchange, XETRA - Deutsche Börse)특징 및 강점유럽 최대 경제 대국: 독일은 유럽연합(EU) .. 2025. 3. 6.
주변 시장 나들이: 동아시아 주식시장 비교- 다시 한국, IN ASIA " 가까운 주변 국가들의 주식시장의 형편은 어떨까. ..? 일본을 제외하고 탑 5위 안에 들지 못하는 이유가 있을테니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우리나라도 복습하는 차원에서 포함해 보겠습니다."    동아시아 주요 주식시장 분석: 일본, 중국, 한국, 대만, 홍콩, 베트남 동아시아의 주식시장은 각국의 경제 구조와 산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일본은 아시아 최대의 선진 주식시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중국과 홍콩은 세계 2위 경제대국의 금융 허브 역할을 한다. 한국과 대만은 반도체 및 IT 산업 중심의 강한 산업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베트남은 신흥국 시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1. 일본 (Tokyo Stock Exchange, TSE & Osaka Exchange, OSE)특징 및 강점아시아 .. 2025.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