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 도서관13

스웨덴식 균형의 미학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가 갖가지 재난 등으로 고난의 시간을 겪고있는 지금,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되짚어봅니다. "오늘은 뭘 입고 나갈까, 점심엔 뭘 먹지, 드라마는 뭘볼까?". 공기나 물처럼 별 감흥없이 누려왔던 일상이 오랜 세월, 수많은 이들의 시간, 피와 땀과 눈물, 헌신의 결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눈시울이 뜨거워집니다.  제게 주어진 평범한 일상이 수많은 이들의 협력의 결과임을 기억하며, 4월의 첫날을 맞이합니다.                        “라곰(Lagom), 너무 많지도 적지도 않게 - 스웨덴의 균형 철학”절제와 만족 사이의 균형21세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중 가장 주목받는 북유럽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라곰(Lagom)입니다.이 단어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2025. 4. 1.
덴마크의 따뜻한 삶의 철학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입맛도 없는, 계절은 봄이나 아직은 봄이 아닌. . . 그러나 곧 겨울을 이기고 마침내 꽃이 피어나리라 믿으며, 편안하고 아늑한 공간과 생활에 관한 짧은 글을 올립니다.        휘게(Hygge) – 덴마크 사람들의 행복  "당신은 요즘, 편안하고 따뜻한 순간을 누리고 있나요?"  덴마크 사람들이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꼽히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휘게(Hygge)’라는 개념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단어는 단순히 분위기를 말하는 게 아니라, 행복의 철학이자 삶의 방식입니다.휘게(Hygge)란?휘게는 덴마크어로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서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coziness’ 또는 ‘well-being’ 정도로.. 2025. 4. 1.
문학을 통한 '마음 & 두뇌건강' 지키기: 2010~2024년 노벨문학상 리뷰 " 세상을 바라보는 그들의 시선에 나는 얼마나 공감할 수 있을까. . .? 모든 작품들을 다 읽어 볼 수는 없는지라, AI의 조력을 받아봅니다. 지난 겨울, 힐링이 필요했던 시간 속에서 함께했던 몇 권의 책들, 그리고 저자들에게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그대들처럼 심연의 깊이로 아름다운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은 지니지 못하였으나, 그나마 감동하며 공감할 수 있는 마음을 지닌 것에 감사하며 . . . ^^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노벨 문학상 수상 작품들에 담긴 공동의 가치와 의미들을 리뷰합니다."             2010년~2024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품과 공통된 가치 분석 노벨 문학상 수상작들은 시대와 문화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인간의 가치와 원칙을 탐구하는 공통점을 보입니다. .. 2025. 3. 5.
그리스 로마 신화의 신들로 부터 기원한 명칭들 본 글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이름에서 기원한 다양한 단어들을 카테고리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1. 도시 이름 (Cities Named After Gods)Athens (아테네) – 아테나(Athena)에서 유래한 그리스의 수도.Rome (로마) – 로마의 건국 신화에서 마르스(Mars)의 후손인 로물루스(Romulus)에서 유래.Janus (야누스, 이탈리아) – 로마의 문지기 신 야누스(Janus)에서 유래.Dion (디오, 그리스) – 디오니소스(Dionysus)에서 유래.Herculaneum (헤르쿨라네움, 이탈리아) – 헤라클레스(Heracles, 로마식으로 Hercules)에서 유래.2. 행성 및 천체 (Planets and Celestial Bodies)Mercury (수성) – .. 2025. 2. 28.
그리스-로마 신화의 갓님들: 이름도 어렵고 탈도 많은 그래서 인간적인. . 잘 알려진 이름을 빼고는 그리스-로마식 표현이 다르기도 해서 제법 헷갈리기도 한 신들의 목록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그 이름으로 부터 기원하는 도시, 건축물, 행성, 질병, 성향, 꽃, 자동차, 캐릭터, 게임 이름 등 등 매우 다양하기에 한번 즈음 되짚어 살펴보면 유익하실듯 합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는 수많은 신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올림포스의 주요 신들부터 하위 신들, 원초적 신들, 영웅들까지 다양한 계층을 이룹니다.1. 올림포스 12신 (Olympian Gods)올림포스 신들은 가장 중요한 신들로, 세계를 다스리는 주요 신들입니다.그리스 이름 로마 이름 역할제우스 (Zeus)주피터 (Jupiter)하늘과 천둥의 신, 신들의 왕헤라 (Hera)유노 (Juno)결혼과 가족의 여신, 제우스의 아내포세이.. 2025. 2. 28.
행복의 진화 - The Evolution of Happiness 행복의 진화: 고대로 부터 지금까지  시대별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행복에 관한 격언들의 목록입니다. 각 시대의 철학적·문화적 배경에 따라 행복을 정의하고 바라보는 관점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I. 고대 및 고전 철학 시대아리스토텔레스“행복은 우리 자신에게 달려 있다.”해석: 행복은 외부 조건보다 개인의 덕과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는 의미.(출처: Nicomachean Ethics)아리스토텔레스“행복은 덕의 산물이다.”해석: 도덕적 덕목의 실천이 진정한 행복을 가져다준다.스토아 철학 (에픽테토스, 세네카 등)“행복은 마음의 평화에서 온다.”해석: 외부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내면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이 행복의 근원이다.II. 중세 및 종교적 패러다임중세 기독교 격언“참된 행복은 하나님 안에서.. 2025. 2. 24.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비결: 과학적 근거와 실천 방법 행복한 아이로 키우기 위해서는 단순한 교육 이상의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여러 연구 결과는 부모와의 관계, 자존감, 긍정적인 사고방식, 그리고 사회적 관계가 아이의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근거와 실천 방법을 제시합니다.1. 안정적인 애착관계 형성 (Secure Attachment)근거: 하버드대 성인발달 연구와 애착이론(John Bowlby)은 어린 시절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관계가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행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습니다.실천 방법: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기아이가 실수했을 때도 조건 없는 사랑을 보여주기함께 시간을 보내고 관심을 기울이기2. 자존감과 자기효능감(Self-Esteem & Self-Efficacy)근거.. 2025. 2. 24.
행복과 인격 Happiness & Personality 행복과 인격, 사람됨행복과 인성간의 관계를 탐구한 다양한 연구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행복과 인성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인성, 생애목표와 행복감의 관계이 연구에서는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이 일반학생보다 책임감, 윤리의식, 긍정적 자기이해 등의 인성 특성이 높으며, 물질적 목표와 이미지 목표는 낮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인성과 생애목표, 행복감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배려와 긍정적 자기이해가 행복감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 출처: koreascience.or.kr2. 내향적인 사람의 행복 증진 방법: 관계 중심적 행복관의 중요성본 연구는 내향적인 사람들이 행복을 관계 중심적으로 인식할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2025. 2. 23.
"행복씨, 외모, 돈, 학력, 사회적 성공이 많이 중요한가요?" '행복' 그리고 그(것)들과의 관계 현대 사회에서는 외모, 돈, 학력, 사회적 성공이 행복의 필수 요소처럼 강조되지만, 연구 결과들을 살펴 보면 이런 요소들이 생각보다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거나 제한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와 사례를 일부 살펴보겠습니다. 1. 외모와 행복의 관계외모는 장기적인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미국 텍사스대학교의 한 연구에서는 객관적으로 매력적인 사람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일반적인 사람들과 행복 수준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외모가 단기적인 사회적 혜택을 줄 수는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영향력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형수술과 만족도노르웨이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성형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초기에는 만족도가 높았지.. 2025. 2. 23.
'행복'을 바라보는 조금 다른 시선-문화권에 따른 차이 행복의 개념은 전 세계적으로 보편성을 갖고 있지만, 각 대륙과 국가마다 문화, 경제 상황, 역사, 사회 구조 등에 따라 그 기준이 다르게 형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륙·국가별 행복의 차이를 분석하고, 지역별로 사람들이 어떤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서구권 (북미·서유럽) – 개인주의적 행복특징:대표 국가: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스웨덴 등행복의 핵심: 개인의 자유, 자기 실현, 성취감주요 요소:개인의 목표 달성과 성취(예: 직업적 성공, 자기계발)가 행복의 중요한 기준웰빙(Well-being), 정신 건강, 균형 잡힌 삶(Work-Life Balance) 강조북유럽(덴마크, 노르웨이 등)은 사회 복지와 공동체적 가치도 중요한 행복 요소경제적 안정과 삶의 질(여가, 건.. 2025. 2. 23.
무엇이 행복을 가로막는가? 행복은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이지만, 행복을 저해하는 요소들은 세상에 가득합니다. 개인 내적 요인을 첫번째로 나열하고 있지만 그것이 가장 중대한 요인이기 때문인 것은 아닙니다. 외적인 요인들이 경우에 따라 가장 강력하고 비중이 높은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간략하게 정리해봅니다.     1. 개인 내적 요인고통스럽고 부정적인 감정우울, 불안, 분노, 질투 등 부정적인 감정은 행복을 저해하는 흔한 요인의 하나입니다. 이러한 감정들이 잘 다루어지지 못하면 일상이 방해받으며 삶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뜨립니다.낮은 자존감자존감은 자신을 존중하고 아끼며 가치 있게 여기는 마음입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며 불안해합니다. 낮은 자존감은 행복의 장애물이 .. 2025. 2. 23.
'행복'. .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기 행복은 인류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가치 중 하나이며, 시대를 초월하여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주제입니다. 이 글에서는 철학, 심리학, 사회학, 문학, 그리고 동양 철학의 관점에서 행복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현대 사회에서의 행복의 의미를 고찰합니다.1. 철학적 관점에서 본 행복아리스토텔레스 (Eudaimonia, 행복 실현)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복을 단순한 쾌락이나 물질적 만족이 아닌, 인간 본성의 탁월함(arete, ἀρετή)을 발휘하여 자기실현을 이루는 상태로 보았습니다. 그는 이성적인 활동을 통해 도덕적 덕을 함양하고, 이를 실천하는 삶이 진정한 행복이라고 주장했습니다.에피쿠로스 (쾌락주의적 행복)에피쿠로스는 행복을 고통의 최소화와 정신적 평온(ataraxia, ἀταραξία)에 두었습니.. 2025.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