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 도서관

무엇이 행복을 가로막는가?

by Care Love 2025. 2. 23.
반응형

 

행복은 인생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이지만, 행복을 저해하는 요소들은 세상에 가득합니다. 개인 내적 요인을 첫번째로 나열하고 있지만 그것이 가장 중대한 요인이기 때문인 것은 아닙니다. 외적인 요인들이 경우에 따라 가장 강력하고 비중이 높은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간략하게 정리해봅니다.     

1. 개인 내적 요인

고통스럽고 부정적인 감정

우울, 불안, 분노, 질투 등 부정적인 감정은 행복을 저해하는 흔한 요인의 하나입니다. 이러한 감정들이 잘 다루어지지 못하면 일상이 방해받으며 삶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뜨립니다.

낮은 자존감

자존감은 자신을 존중하고 아끼며 가치 있게 여기는 마음입니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며 불안해합니다. 낮은 자존감은 행복의 장애물이 됩니다.

비관적인 조망 

현실에 대한 직시와 건강한 비판이 아닌 세상을 비관적이고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게하고 삶의 의지를 약화시킵니다. 일상에서 스트레스에 취약하게 만들며 작은 어려움에도 쉽게 좌절감을 느끼게 합니다. 

완벽주의

완벽주의적인 성향은 자신에게 지나치게 높은 기준을 적용하고, 끊임없이 완벽을 추구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완벽주의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뢰와 수용, 만족감을 느끼기 어렵게 만들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켜 지속적으로 행복을 저해합니다.

중독

알코올, 약물, 도박, 인터넷, 게임 등 중독은 쾌락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지만, 결국에는 탐닉에 과몰하여 자기 통제력을 잃고 중독의 굴레에 빠져드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중독은 건강, 인간관계,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며 행복을 파괴합니다.

2. 대인관계 요인

지속적인 갈등

가족, 친구, 연인 등 가까운 사람들과의 갈등은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해결책을 찾아가는 갈등은 친밀감을 발전시키고 서로를 성숙시킬 수 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는 감정을 소진시키며 스트레스와 불만을 증폭시키고, 관계를 악화시켜 행복을 저해합니다.

고립

사회적 고립은 외로움, 소외감, 고립감을 유발하며 행복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타인과의 교류가 지나치게 부족하면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간관계에서 그 수는 중요치 않으며, 진정한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과도한 경쟁과 비교

타인과의 과도한 경쟁과 비교는 긴장과 불안감을 높이며 자신을 부족하게 느끼게 만들고, 불만족감을 증폭시킵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타인의 긍정적인 모습만 접하게 되는 경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행복감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불건강한 의존

상호 호혜성에 기반한 상호 의존은 행복에 조건입니다. 그러나 타인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지 못하게 만들고, 행복을 저해합니다. 타인의 인정과 평가에 따라 행복감이 좌우되는 것은 진정한 행복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3. 사회·환경적 요인

경제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은 의식주 해결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켜 행복을 저해합니다.

불안정한 고용

불안정한 고용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행복을 감소시킵니다.

사회적 불평등

사회적 불평등은 개인의 노력과 능력과는 상관없이 불리한 환경에 놓이게 만들고, 불공정함에 대한 분노와 좌절감을 유발하여 행복을 저해합니다.

환경 오염과 재해  

환경 오염은 건강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없게 만들어 행복을 감소시킵니다. 재해는 그 심각성에 따라 일시적, 지속적으로 행복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문제

범죄, 폭력, 팬데믹, 전쟁 등 미시적, 거시적인 사회적 문제는 개인의 안전과 행복을 위협하는 매우 강력하고 중대한 요인입니다.

4. 기타 요인

건강 문제

질병은 육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고통을 동반하며 행복을 저해합니다.

수면 부족

수면 부족은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키고, 집중력과 기억력을 저하시켜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과도한 업무

과도한 업무는 스트레스와 피로를 유발하고, 워라밸을 무너뜨려 행복을 감소시킵니다.

미디어

미디어는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적인 삶을 제시하고, 소비를 부추겨 불만족감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맺음말

행복을 저해하는 요인들은 이 외에도 더 다양하며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 스스로 경감시키고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렇게 해야 하며, 만약 외부적인 경우라면 안전한 거리에서 스스로를 지키고 돌보며, 때를 기다리는 것도 필요합니다.      

 

행복을 가로막는 장애물들이 25년 다가오는 봄과 함께, 조용히 물러나 주기를 소망합니다. 

 

이어지는 다음 글에서는 [행복- 문화적 차이]를 소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