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행복 도서관

스웨덴식 균형의 미학

by Care Love 2025. 4. 1.
반응형

Brita's Forty Winks, Carl Larsson, 1895년. wisdom4us.tistory.com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가 갖가지 재난 등으로 고난의 시간을 겪고있는 지금,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일상의 소중함을 되짚어봅니다. "오늘은 뭘 입고 나갈까, 점심엔 뭘 먹지, 드라마는 뭘볼까?". 공기나 물처럼 별 감흥없이 누려왔던 일상이 오랜 세월, 수많은 이들의 시간, 피와 땀과 눈물, 헌신의 결과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눈시울이 뜨거워집니다.

 

제게 주어진 평범한 일상이 수많은 이들의 협력의 결과임을 기억하며, 4월의 첫날을 맞이합니다.                       

 

“라곰(Lagom), 너무 많지도 적지도 않게 - 스웨덴의 균형 철학”


절제와 만족 사이의 균형

21세기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중 가장 주목받는 북유럽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라곰(Lagom)입니다.
이 단어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스웨덴 사람들의 일상과 문화 전반에 뿌리내린 삶의 철학입니다.
“딱 알맞게, 균형 잡힌 상태”를 뜻하는 라곰은 물질, 시간, 인간관계, 인테리어에 이르기까지 소박함과 ‘적절함’의 미학을 추구합니다.


라곰의 의미와 철학

라곰은 ‘Not too little, not too much, just right’의 스웨덴식 표현입니다.
이 개념은 집단 조화, 지속 가능성, 개인의 행복 추구라는 스웨덴의 문화적 가치관을 반영하며,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살아가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 “라곰은 내가 아니라 ‘우리’를 생각하는 삶의 태도이다.”


라곰이 적용되는 5가지 생활 영역

생활 영역 라곰식 실천 방법
식생활 과식하지 않기, 신선한 재료 위주 식사
소비 습관 필요한 것만 구입, 장기 사용 제품 선호
업무와 휴식 일과 삶의 균형, 워라밸 실천
인테리어 미니멀리즘 기반, 기능성과 심미성의 균형
인간관계 진정성 있는 소통, 적절한 거리 유지

 


라곰 인테리어: 공간에 철학을 입히다

  • 컬러 팔레트: 그레이, 베이지, 화이트 등 차분한 중간 톤 사용
  • 재질과 감각: 나무, 리넨, 자연광 활용
  • 가구 선택: 실용성과 심플함이 결합된 구조
  • 공간 활용: 비움의 미학, 공백을 두는 배치

라곰 인테리어는 ‘가득 채우지 않음’으로 오히려 여유와 집중을 만들어냅니다.


The Bedroom, Carl Larsson, 1895년경. wisdom4us.tistory.com

스웨덴 화가 '칼 라르손(Carl Larsson)'과 라곰

칼 라르손은 스웨덴 전통 가정의 평화롭고 절제된 일상을 수채화로 표현한 화가입니다. 그의 작품은 라곰 철학을 시각화한 대표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라곰 실천 팁 3가지

  1. 하루 일정한 시간, 아무 것도 하지 않기
  2. 소비 전, 이 물건이 정말 필요한가 질문하기
  3. 정리정돈으로 물건의 수를 줄이고 숨 쉴 공간 확보하기

참고 자료


지금, 당신의 삶에  적당함, 그리고 소박한 아름다움이 있나요?

라곰은 단순한 절제가 아닌 삶의 품격과 균형을 위한 지혜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놓치기 쉬운 ‘적당함’을 되찾고 싶다면, 라곰을 참조하세요. 


더 살펴볼 거리 

라곰 스타일 인테리어 사진 사이트

1. Nordic Design

  • 북유럽 인테리어 전문 사이트. 라곰 감성의 스웨덴 스타일 집들이 다수 수록됨.
  • ✅ 링크: https://nordicdesign.ca
  • 추천 검색어: “Lagom interiors”, “Swedish minimalism”

2. Apartment Therapy – Scandinavian Homes


3. Dwell Magazine – Swedish Design


라곰 감성의 예술작품 사이트

1. Carl Larsson-gården (공식 박물관 웹사이트)


2. WikiArt – Carl Larsson 작품 컬렉션


3. Nationalmuseum Sweden (스웨덴 국립미술관)


Lisbeth Reading" (스웨덴어: "Lisbeth läser"), Carl Larsson, 1904. wisdom4us.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