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시대, 인간다움에 대해 묻다] 라는 주제로 11편의 글을 연재해봅니다. 8/11
왜 이 글을 읽어야 할까요?
AI와 기술이 우리 삶 깊숙이 들어온 지금, 많은 사람들은 말합니다.
“기술이 세상을 더 나아지게 만들 것이다.”
“인간 중심 기술로 윤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인간 중심 기술’이라는 말은 과연 진짜 인간을 위한 것일까요, 아니면 인간이라는 이상을 기술에 끼워 맞추려는 환상일까요?
이 글은 기술에 대한 낙관주의적 믿음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며,
우리가 기술보다 먼저 고민해야 할 인간다움의 가치 기준을 다시 묻습니다.
기술은 ‘중립적’이지 않다
기술은 방향 없이 발전하지 않는다
기술은 단순히 중립적인 도구가 아닙니다.
기술이 설계되고 적용되는 과정에는
누군가의 목적, 가치, 이익, 권력이 개입됩니다.
기술 선택 | 배제된 시선 |
---|---|
얼굴 인식 | 소수 인종·여성 얼굴 인식률 낮음 → 편향 발생 |
알고리즘 추천 | 사용자 선호를 좇지만, 혐오 콘텐츠 확산 가능 |
‘인간 중심’ 기술이라는 말은, 어떤 인간을 중심에 둘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질문으로 이어져야 합니다.
기술 낙관주의의 그림자
“기술이 해결해줄 것”이라는 믿음은 편리하지만 위험하다
- AI가 더 윤리적 판단을 해줄 것이다?
- 알고리즘이 사회 갈등을 조정할 수 있다?
- 자동화가 인간의 고통을 덜어줄 것이다?
→ 이런 믿음은 기술에 문제 해결 능력을 위임하는 자기 책임의 포기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기술은 인간의 문제를 대신 살아주지 않습니다.
기술이 제공하는 건 ‘도구’이지, ‘의미’는 아닙니다.
🌱 인간다움의 복원이 우선이다
Schwartz의 보편적 가치 이론에서 배우는 방향성
사회심리학자 Shalom Schwartz는 전 세계의 문화 속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10가지 인간의 보편적 가치를 제시했습니다(표는 일부 예시)
가치 | 설명 |
---|---|
박애, 보편주의 | 타인의 복지와 정의, 평등에 대한 관심 |
자율성 | 스스로 사고하고 선택하는 능력 |
전통, 공동체 | 역사성과 연대 의식에 대한 존중 |
👉 기술은 이런 가치 위에 설계되고 판단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속도와 효율의 이름으로 인간다움을 희생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 기술이 인간을 구원하지 못하는 이유
기술은 감정을 느끼지 않고,
윤리를 자문하지 않으며,
공동체 속에서 의미를 구성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기술을 통해 구원받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붙잡고 있어야 합니다.
기술이 할 수 있는 일 | 인간이 해야 할 일 |
---|---|
반복적 계산과 예측 | 가치 판단과 도덕적 책임 |
정해진 규칙 내 행동 | 맥락에 따라 결정하고 반성하기 |
효율적 해결 | 의미를 묻고, 방향을 설정하기 |
✅ Q&A
Q1. 인간 중심 기술은 불가능한가요?
➡️ 가능은 하지만, 인간다움에 대한 철학적 기준 없이 기술만 앞세우면 중심은 곧 흔들립니다.
누구를 위한 기술인지 늘 되물어야 합니다.
Q2. 기술이 인간을 변화시키는 방식이 문제인가요?
➡️ 그렇습니다. 기술은 인간을 보완하기도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인간을 축소하거나 왜곡시킬 수 있다는 점이 더 중요합니다.
Q3. 기술은 도덕적 판단을 대신할 수 없나요?
➡️ 도덕은 공감, 맥락, 책임, 반성 등 정서적·관계적 판단을 포함합니다.
기계는 ‘반응’은 가능하지만, ‘책임지는 윤리’는 불가능합니다.
🎯 마무리하며
기술은 인간을 더 편리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을 ‘더 나은 존재’로 만들어주는 것은
기계가 아닌, 인간 스스로의 가치 기준입니다.
우리는 기술이 구원해주길 바라기보다,
기술을 인간답게 사용할 수 있는 의식과 성찰력을 먼저 갖춰야 합니다.
참고문헌
- Ahram, T., & Taiar, R. (Eds.). (2023). Human Interaction and Emerging Technologies (IHIET-AI 2023):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ture Applications. AHFE Open Access. https://openaccess.cms-conferences.org/publications/book/978-1-958651-46-9
- Capel, T., & Brereton, M. (2023). What is human-centered about human-centered AI? A map of the research landscape. In Proceedings of the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23).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https://doi.org/10.1145/3544548.3580663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감정 없는 존재와 도덕을 나눌 수 있을까? – 윤리의 본질을 묻다 (0) | 2025.03.25 |
---|---|
9. AI 시대, 인간의 감정은 어떻게 진화할까? (0) | 2025.03.25 |
7. 인간도 인성교육을 계속 받아야 하는 이유 – 거울이 된 AI (6) | 2025.03.24 |
6. AI 시대! 왜 지금, 다시 인성교육이 중요해지는가? (1) | 2025.03.24 |
5. AI는 ‘착한 행동’을 이해할 수 있을까? 알고리즘의 공감학습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