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의 개념과 정치·사회적 배경: 보수, 중도, 진보 간략 비교
"정치적 성향을 물을 때, 사회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로 중도로 답하는 비율이 약 40% 내외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스웨덴, 노르웨이, 스위스, 핀란드 등 북유럽 국가들처럼 선택지가 다양한 다당제가 되면 좋지 않을까. . .생각해봅니다. 다당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적게는 네 다섯개, 많게는 예닐곱개가 넘는 정당들도 크게 좌우로 분류하기도 합니다만(좌우 두 축 사이에 다양한 스팩트럼이 존재, 이에 대해서는 또 다른 글에서 보다 자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스팩트럼 상의 여러 지점에 위치하면서 동시에 정당의 철학이나 지향이 보다 구체화되고 선명하며 그 특색이 뚜렷하면 유권자들의 선택도 보다 수월해 질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중도'가 단지 ..
2025. 3. 15.
보수와 진보: 정치철학, 도덕심리학, 경제, 문화,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
" 소중한 것은 지키고, 그렇지 못한 것은 바꾸고 싶은 마음, 그것은 인간 본성의 하나라 생각합니다. 어느 쪽이 더 강한가? 라고 묻는다면, 저는 '해결 과제에 집중 할 때는 진보적일 것이고, 중요한 가치와 신념을 지키고자 할 때는 보수적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심리학이나 철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자기실현'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단순히 사회적 성공이나 성취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인식의 범위, 사고와 의식의 확장이라는 의미가 그 본질에 더 가깝습니다. 누구든 흑백논리를 들이대며 이분법적으로 양분하려하는 시도를 한다면 '내 안에 너 있고, 너 안에도 나 있을껄. . ? '이라고 말해줄듯 합니다(속으로 ^^;). 여하간, 용어의 의미에 대해서 한 번 즈음 정리해보..
2025.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