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와는 전혀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것 만 같은 이들을 볼 때면, 가용한 최대치의 공감 파워를 끌어와도 결국 고개를 절래 절래 할수 밖에 없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공감=이해(관용의 느낌을 담은), 공감=용서'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것은 공감에 대한 오해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하간, 제 생각으로는 공감 즉, 타인에 대한 감정이입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그들의 독특한, 이상한, 상식을 넘어선, 기괴한등 등의 특성의 기원이나, 영향을 주고 받는 조건에 대한 앎의 의미로서의 '통찰'인 것이지, 허용이나 용서를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공감 능력은 향상시키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으나, 사람에 대한 예의이자 희망이라는 측면에서, 키워질 수 있다는 가능성에 한 표를 던지고 싶습니다. 특히, 자라나는 아동 청소년기에는 변화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으로 이 글이 조금이나마 유용한 팁이 되면 좋겠습니다.
1. 공감 능력은 키울 수 있을까?
공감(Empathy)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능력으로, 인간관계의 핵심 요소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공감을 타고난 성향이라고 생각하지만, 연구에 따르면 공감 능력은 연습과 훈련을 통해 충분히 향상될 수 있습니다(Bloom, 2016). 실생활에서 공감 능력을 키우는 방법을 익히고 연습하면, 보다 건강한 관계를 맺고 사회적 소통 능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2. 실생활에서 공감 능력을 키우는 5가지 방법
공감은 단순한 감정 이입이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5가지 주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적극적 경청(Active Listening) 연습하기
적극적 경청은 상대방의 말을 단순히 듣는 것이 아니라, 집중하고 공감하며 피드백을 주는 과정입니다.
실천 방법:
- 상대방이 말하는 동안 스마트폰을 보지 않고 눈을 맞추며 경청하기.
- "그렇군요, 그래서 그때 어떤 기분이었어요?" 같은 질문을 던지며 대화를 이어가기.
- 상대의 감정을 반영하는 피드백 제공하기 (예: "정말 속상했겠어요.")
실례:
친구가 직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이야기할 때, "그냥 참고 넘어가"라고 하지 않고, "그게 정말 힘들었겠구나. 네가 어떤 감정을 느꼈을지 이해돼."라고 공감하는 방식.
2) 비언어적 소통(Non-verbal Communication) 활용하기
공감은 말뿐만 아니라 표정, 몸짓, 목소리 톤 등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서도 전달됩니다.
실천 방법:
- 상대방이 슬퍼할 때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의 표현을 보이기.
- 감정에 맞는 적절한 표정 짓기 (예: 상대가 기쁜 소식을 전할 때 함께 웃기).
- 부드러운 목소리 톤과 편안한 제스처 사용하기.
실례:
동료가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이야기할 때, 팔짱을 끼고 무표정으로 듣기보다, 눈을 맞추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무슨 일 있어?"라고 묻는 것이 더 큰 공감을 전달할 수 있음.
3) 타인 조망: 공감적 시각(Perspective-Taking) 연습하기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는 것은 공감을 키우는 중요한 훈련입니다. 자신의 시각이 아니라 타인의 경험과 감정을 고려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실천 방법:
- 뉴스나 책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기.
-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내가 저 상황이라면 어떤 기분일까?"라고 질문하기.
- 선입견을 버리고 열린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하기.
실례:
택시 기사가 난폭하게 운전했을 때 화를 내기보다, "혹시 오늘 너무 피곤하거나 힘든 일이 있었던 걸까?"라고 생각하며 상황을 이해하려는 태도.
4) 공감 훈련을 위한 역할 놀이- 롤플레잉(Role-Playing) 활용하기
다양한 상황을 가정하고 타인의 감정을 경험하는 연습을 하면 공감 능력이 향상됩니다.
실천 방법:
- 친구나 동료와 역할극을 하면서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연습하기.
- "나는 네 입장에서 이런 기분일 것 같아."라고 말하며 감정을 공유하는 연습하기.
- 어려운 대화를 미리 연습하여 적절한 공감 표현을 찾아보기.
실례:
고객 서비스 담당자가 화가 난 고객의 입장이 되어보는 연습을 하면, 실제 고객을 대할 때 더 나은 공감적 대응이 가능해짐.
5) 감사와 연민(Compassion) 실천하기
공감은 단순히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배려하고 행동하는 것까지 포함됩니다. 감사와 연민을 실천하는 것은 공감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천 방법:
- 가족, 친구, 동료에게 "고마워"라고 자주 표현하기.
-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 작은 도움이라도 실천하기.
- 나와 다른 사람들의 삶을 존중하는 태도 갖기.
실례:
카페에서 바쁜 바리스타가 힘들어 보일 때, "항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라고 말하는 작은 행동도 공감의 실천이 될 수 있음.
3. 공감을 키우면 어떤 변화가 있을까?
공감 능력을 키우면 개인적인 삶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더 깊은 인간관계 형성: 가족, 친구, 동료와의 관계가 더 돈독해짐.
✅ 갈등 해결 능력 향상: 오해와 갈등을 줄이고 원만한 해결이 가능해짐.
✅ 정서적 안정과 행복 증가: 타인을 이해하고 도울 때 만족감과 행복감이 증가함.
✅ 사회적 연대감 강화: 배려와 이해가 넘치는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함.
4. 마무리: 공감은 연습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공감은 온전히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으로 연습하고 실천하게 되면 상당 부분 향상될 수 도있습니다.
공감 훈련 실천법 요약
1.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라.
2. 비언어적 표현(눈맞춤, 표정, 목소리 톤)을 활용하라.
3. 상대방의 입장에서 사고하는 연습을 하라.
4.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역할극을 통해 공감을 훈련하라.
5. 감사와 연민을 실천하며 작은 배려를 실천하라.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려스러운 마음을 AI에게 묻다 (7) | 2025.03.13 |
---|---|
10. 공감의 미래 - 인공지능과 공감의 진화 (5) | 2025.03.12 |
8. 공감과 리더십 - 조직과 사회에서의 공감 (6) | 2025.03.11 |
마주한 위기, 어떻게 해야할까? 본질과 유형, 대응전략, 위기 이후의 성장 (2) | 2025.03.11 |
진정한 회복을 위한, 중대한 예외 ! (3) | 2025.03.10 |